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연합군과 전쟁 중인 예멘 후티 반군을 테러 조직 명단에서 제외했다.
후티 반군이 2월 14일 사우디아라비아 공항을 무장 드론 2대로 공격해 민간 항공기가 폭파되었다. 지난 10일에도 민간인을 목표로 무장 드론을 이용해 공격하였으나 격추당하였고, 지난해 말에도 예멘 남부에 후티 반군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공격으로 인해 최소 26명이 목숨을 잃었다. 후티 반군의 계속되는 공격으로 인해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후티 반군을 테러 조직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최근 취임한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한 달 만에 후티 반군을 테러 조직 명단에서 제외했다. 예멘 후티 반군을 향한 강력한 제재로 인해 예멘 국민에게 인도적 지원까지 어려워질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편, 바이든 행정부는 계속해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문제에 대해 언급했다. 인권 문제가 언급된 이유는 7년간 계속되는 예멘 내전에서 사우디 주도 연합군의 무차별적인 공격으로 인해 예멘 국민의 인권이 침해되고 있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이어 사우디아라비아에 무기 판매와 공격 작전 등 미국의 지원을 종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3년간 수감되어 있던 사우디아라비아의 여성 인권운동가 ‘루자인 알하스룰’이 예정보다 빨리 석방되었다. 이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인권 문제 관련 압박을 강화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알하스룰의 가족들 또한 같은 의견을 표했다. 알하스룰의 자매는 “국제적인 압력 없이는 사우디에서 어떤 것도 얻을 수 없습니다.”라고 JTBC 뉴스를 통해 인터뷰했다.
하지만 이번 예멘 내전 속 사우디아라비아를 향한 압박은 인권 문제 때문만이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과 이란의 오랜 국제 관계 악화 속에서, 중동에서 이란의 영향력이 커지자 이란의 반미 성향이 중동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 하에 미국은 이란을 압박하고 있었다. 사실상 예멘 내전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대비전이라고 볼 수 있기에,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를 압박하는 이유는 단순히 인권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이다.
현재 예멘에서 일어나고 있는 내전은 단순한 내전이 아니다. 이 내전의 진행 방향은 곧 중동 정세가 되는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인권 문제를 빌미로 압박을 하고 그 뒤에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를 재평가할 것이라고 관련 전문가들은 분석했다.